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OS 커널
- bash
- Pointer
- 컴퓨터 강좌
- FreeBSD
- UNIX Internals
- 함수포인터
- UNIX
- 한빛미디어
- 커널
- kernel
- go
- newSQL
- DBMS
- 포인터
- 구조와 원리
- Golang
- Windows via c/c++
- Preprocessor
- 긴옵션
- TiDB
- TiKV
- getopts
- 약어
- SQLite
- Programming
- DBMS 개발
- Symbol
- 포인터변수
- 전처리기
Archives
- Today
- Total
sonumb
NS2 - wireless환경에서 CBK drop이 많이 발생할 경우. 본문
대체적으로 사용자의 패킷은 데이터 패킷이며 양이 크다.
따라서 전송 시 드랍 에러도 많이 일어난다.
따라서 해당 패킷을 데이터 패킷이라고 선언해야, Link Layer에서 후속조치를 해준다.
해결책
common/packet.h 파일 중
#define DATA_PACKET(type) ( (type) == PT_TCP || \
(type) == PT_TELNET || \
(type) == PT_CBR || \
(type) == PT_AUDIO || \
(type) == PT_VIDEO || \
(type) == PT_ACK || \
(type) == PT_SCTP || \
(type) == PT_PROTONAME || /* 자신의 패킷 타입추가 */ \
(type) == PT_SCTP_APP1 \
)
반응형